2015년식 맥북 포맷 방법 / 가장 쉬운 방법 / 초보자 이해 가능


단계별 가이드로 맥북 공장 초기화하기



2015년식 맥북을 포맷(공장 초기화)하려면 데이터 백업, 복구 모드 진입, 디스크 초기화, macOS 재설치 등의 단계가 필요합니다. 아래는 단계별로 정리한 상세 가이드입니다.




데이터 백업 중요한 파일을 외장 하드, USB 드라이브 또는 iCloud로 백업
복구 모드 진입 Command + R 키로 복구 모드에 진입하여 포맷을 시작

포맷을 시작하기 전에 데이터 백업은 매우 중요한 단계입니다. 중요한 파일은 외장 하드나 USB 드라이브, iCloud를 사용해 백업해야 합니다. 특히 Apple의 Time Machine 기능을 활용하면 자동으로 백업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백업이 완료되면, 맥북을 완전히 종료하고 복구 모드에 진입할 준비를 해야 합니다. 인터넷 연결이 안정적이고, 전원이 충분히 공급되고 있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하세요.



복구 모드로 진입하려면 맥북을 종료한 후, 전원 버튼을 눌러 Command(⌘) + R 키를 동시에 누릅니다. 이 상태로 Apple 로고가 나타날 때까지 기다리면 복구 모드가 실행됩니다. 이후 macOS 유틸리티 창에서 Disk Utility(디스크 유틸리티)를 선택하고, 내부 드라이브를 선택한 후 "Erase(지우기)" 버튼을 클릭하여 디스크를 초기화합니다. 최신 SSD 드라이브의 경우, APFS 형식을, 오래된 HDD는 Mac OS Extended (Journaled) 형식을 선택해야 합니다.




Key Points

재설치가 완료되면, macOS 유틸리티 창에서 Reinstall macOS 옵션을 선택하여 재설치를 시작합니다. 설치 과정에서는 약 30분 정도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이후 맥북을 재설치한 후, 초기 설정 화면에서 언어, Wi-Fi, iCloud 계정 등을 설정하게 됩니다. 판매나 양도 목적으로 초기 설정을 건너뛰고 종료하면 됩니다.



데이터 백업 복구 모드 진입 macOS 재설치
Time Machine, 외장 하드 드라이브, iCloud로 백업 Command + R 키를 눌러 복구 모드로 진입 macOS 유틸리티에서 재설치를 시작하고 지시에 따라 진행
파일이 많을수록 더 많은 시간 소요 네트워크 연결 확인 후, 복구 모드 진입 시 Apple 로고를 기다림 재설치 완료 후 언어 및 네트워크 설정 진행


 

맥북 포맷 후, 데이터는 완전히 삭제되나요?

네, 포맷을 완료하면 디스크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는 삭제됩니다. 그러나 중요한 데이터는 반드시 백업을 진행한 후 포맷을 시작해야 합니다.



macOS 재설치 중 인터넷 연결이 끊기면 어떻게 하나요?

인터넷 연결이 끊기면 macOS 재설치가 중단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인터넷 연결이 안정적인 상태에서 재설치를 다시 시도해야 합니다.



 

복구 모드에 진입하는 방법이 잘 안 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복구 모드로 진입할 때, Command + R 키를 정확히 눌러야 합니다. 그래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NVRAM을 리셋하거나 인터넷 복구 모드를 시도해보세요.

맥북 포맷은 간단하지만 중요한 단계입니다. 이 가이드를 따라 진행하시면 데이터 백업과 복구 모드 진입부터 macOS 재설치까지 순차적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포맷이 완료되면 맥북이 새롭게 설정되어 초기 상태로 돌아갑니다. 사용하시기 전에 꼭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해 두시기 바랍니다.



여러분의 의견을 들려주세요!

이 포맷 가이드가 도움이 되었나요? 추가로 궁금한 점이나 포맷 관련 팁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경험을 나누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