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코인(Pi Network) 현금화: 거래소 전환부터 출금까지 완벽 가이드 / 파이코인을 실제 돈으로 바꾸려면 어떤 절차가 필요할까?

파이코인(Pi Network) 현금화: 거래소 전환부터 출금까지 완벽 가이드

파이코인을 실제 돈으로 바꾸려면 어떤 절차가 필요할까?


파이코인(Pi Network)은 현재 메인넷 이행 중으로, 일부 거래소에서는 Pi 코인 상장이 제한되었지만
일부 사용자는 KYC 인증 완료 후 지갑 이동 및 OTC(장외거래)나 외부 거래소 연계를 통해 현금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파이코인을 안전하게 거래소로 옮기고, 원화 또는 달러 등 실제 화폐로 전환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안내드립니다.


KYC 인증과 메인넷 지갑 세팅이 우선

파이코인을 거래하려면 가장 먼저 *i Network 앱 내 KYC(본인인증)를 완료해야 합니다.
KYC를 통과하면 Pi 지갑 주소가 메인넷과 연결되며, 내 채굴 코인을 지갑으로 옮길 수 있습니다.
이후 메인넷 전환이 완료된 지갑에 한해 외부 전송 기능이 활성화됩니다.


공식 거래소 이전: PiBridge와 OTC 사용 여부

현재 공식적으로 상장된 거래소는 없으나, 일부 커뮤니티에서는 PiBridge 같은 브릿지 플랫폼을 통해
Pi 코인을 다른 코인으로 교환하거나, USDT 또는 BTC로 변환해 외부 거래소로 옮기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의할 점은 이 방식은 신뢰성 검토가 필수이며 사기 위험이 존재한다는 점입니다.


테이블로 보는 거래소 전환 주요 경로

 

Pi → PiBridge 브릿지를 통한 타 코인 변환 수수료, 사기 주의
Pi → OTC 커뮤니티 거래자 직접 거래 중개자 신뢰성 중요
Pi → HTX(구 Huobi) 일부 비공식 상장 소문 정식 상장 아님, 고위험

실제 현금화 과정은 이렇게 진행된다

"Pi → 브릿지 플랫폼 → USDT → 바이낸스 등 주요 거래소 → 출금 → 현금화"의 순서를 따릅니다.
즉, Pi를 직접 원화로 바꾸는 것이 아니라 USDT 같은 스테이블 코인으로 전환 후 일반 코인 거래소에서 출금하는 구조입니다.
이때 바이낸스나 업비트 같은 대형 거래소를 연동하는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사례를 통한 절차 설명: A씨의 Pi 현금화 과정

A씨는 2024년 KYC를 마친 뒤 메인넷으로 1,000 Pi를 이관했습니다.
PiBridge를 통해 Pi를 USDT로 바꾸고, 해당 USDT를 바이낸스로 보냈습니다.
바이낸스에서는 업비트 계정으로 리플(XRP)을 전송한 뒤, 원화로 환전하고 본인 통장으로 출금했습니다.


거래소 이동 시 필수 보안 체크리스트

  • "지갑 주소 복사 시 철자, 숫자 일치 여부 확인"
  • "브릿지 이용 시 수수료율 및 지연 시간 체크"
  • "상대방 계좌 확인 및 스크린샷 저장"
  • "2FA 인증 및 OTP 설정 필수"

마크다운 표: 주요 브릿지 플랫폼과 기능

 

     
플랫폼명 지원 코인 특징
PiBridge Pi → USDT 커뮤니티 운영, 거래 빠름
PiSwap Pi → ETH 수수료 높음, 사용 저조
X-PiChain Pi → BTC 최근 접속 불가

향후 Pi Network의 공식 상장 가능성은?

현재 Pi Network는 메인넷 완전 공개를 기다리고 있으며,
"정식 거래소 상장은 아직 이뤄지지 않았고", 내부 테스트와 커뮤니티 중심의 유통 단계에 있습니다.
향후 KYC 완료 유저 수 증가 및 생태계 확장에 따라 상장 가능성은 점점 커지고 있습니다.
정식 상장 전까지는 모든 외부 거래는 리스크가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합니다.


마지막 요약

  • KYC 인증 완료 및 메인넷 지갑 세팅이 현금화의 출발점
  • PiBridge, OTC, 브릿지를 통한 USDT 전환 방식이 현재 주류
  • 바이낸스, 업비트 등을 이용해 현금화 가능
  • 사기 위험 높아 보안과 신뢰 확인은 필수